• KLAS 종합정보서비스
  • 발전기금
  • WEB-MAIL
  • SITEMAP
  • Search

21세기 건축산업은 건축물의 고도화, 건축생산과정의 복잡화, 건축프로젝트의 국제화, 전문지식의 급속한 발전 및 확산 등으로 특징지을 수 있습니다. 건축공학과에서는 이렇게 급변하는 21세기의 고도산업 사회에서 건축공학을 선도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국가경제와 인류사회에 기여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새로운 지식과 과학적 사고를 습득하고 실용적 응용능력을 배양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는 졸업생들이 스스로의 미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창의성과 실무능력을 갖춘 국제화 건축 기술인 양성”을 교육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위치 : 비마관 318호

학과문의 : 02-940-5190

팩스번호 : 02-940-5190

홈페이지 : http://archi.kw.ac.kr/

교과목안내

교과목 안내

건축공학개론 Introduction to Architectural Engineering

건축공학에 입문하는 학생들에게 건축공학 분야와 관련된 공학 전반의 상황에 대하여 소개한다. 특히 건축 구조, 건축 환경 및 설비, 건축시공 및 건설관리 등 건축공학 전반에 관한 이해력을 증진시킨다.

디지털 건축 Digital Construction

'디지털 건축' 강의는 건축 도면의 기본 이해와 CAD 활용 방법을 배우는 과정이. 또한, 3D 프린터 등을 이용한 모형 제작을 통해 디지털 설계의 실제 적용 방법을 익힌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건축 설계 역량을 기를 수 있다.

공학설계입문 Introduction to Engineering Design

공학인 으로서 꼭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능력을 강의, 실습과 토의 및 조별작품활동을 통하여 인지시키고 이를 함양시키며, 창의력을 개발하기 위한 과목이다.

구조역학1 Structural Analysis I

구조역학은 구조물을 설계하고 역학적 거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물에 작용하는 외력을 분석하고 그에 따르는 응력 및 변형을 구하는 학문이다. 건축구조 해석의 기초 총론 및 정적하중이 작용할 때 구조물에 유발되는 단면력과 변위를 해석하는 이론과 방법을 강의한다. 구조역학 (I)에서는 주로 정정 구조물의 응력 및 변형을 구하는 방법을 강의한다. 또한, 일반적인 구조해석 프로그램의 간단한 응용을 포함하는 해석 총론을 강의한다.

일반구조 Building Construction

건물의 설계 및 시공을 위해서 기본적으로 이해해야하는 건물 각 부분의 물리적 실체를 익히며, 사용자의 요구가 건물의 일부분으로 구현되는 기본 과정에 대한 기본 지식을 배우고 과제를 통해서 익힌다.

건축환경1 Building Environmental Technology 1

건축환경이란 설계과정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건물의 물리적 성능을 다루는 기술분야에 속한다. 건물의 물리적 성능은 공간, 열ㆍ빛ㆍ음환경, 실내공기환경, 그리고 이러한 요소들의 통합과 관련한 건축가의 지식과 경험에 달려 있다. 본 교과에서는 기후요소는 물론 대지 주변의 물리적 환경 요인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채광, 통풍, 태양열의 이용이나 일조조절 등의 장차 건축실무에서 요구되는 기본이론, 설계 및 평가기법 등을 소개한다.

건축계획및법규 Building Code and Design Planning

‘건축계획 및 법규’ 강의에서는 건축의 역할, 기능, 구조, 형태적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기본적인 건축계획 요소를 학습하고, 건축계획에 대한 이론적인 이해와 더불어 건축실무와 관련된 각종 기준, 법규 등을 학습함으로써 인간과 건축, 도시, 사회의 관계를 이해한다.

건축환경2 Building Environmental Technology Ⅱ

최근 미술관, 박물관 등의 관람시설이나 콘서트 홀, 오페라 하우스 등의 공연시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관람시설의 자연채광이나 조명설계, 그리고 공연시설의 음향설계와 관련한 기본이론 및 설계기법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교과목에서는 빛환경 및 음환경과 관련한 기초이론 및 설계기법에 대하여 주제별로 소개하고 있다.

건설공법및실습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actice

건물의 물리적 축조과정에서 요구되는 시공법 및 사용 장비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배우며, 현장 실습을 통해서 현업에서의 사용 실태를 익힌다. 이를 통해 시공법에 대한 응용능력과 창의적인 신공법의 발상 및 개발에 요구되는 기본 소양을 배양한다.

구조역학2 Structural Analysis II

구조역학은 구조물을 설계하고 역학적 거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물에 작용하는 외력을 분석하고 그에 따르는 응력 및 변형을 구하는 학문이다. 건축구조 해석의 기초 총론 및 정적하중이 작용할 때 구조물에 유발되는 단면력과 변위를 해석하는 이론과 방법을 강의한다. 구조역학 (II)에서는 주로 부정정 구조물의 응력 및 변형을 구하는 방법을 강의한다. 또한, 일반적인 구조해석 프로그램의 간단한 응용을 포함하는 해석 총론을 강의한다.

건축사 History of Architecture

건축역사는 인간이 필요에 의해 구성한 구조물에서부터 시작하여 주변 환경(물질적, 인문적)과 자신의 관계 속에서 추상적인 개념이 투영된 건축작품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는 학문이다. 본 교과에서는 동ㆍ서양 건축사를 연대적으로 탐색하면서 현재의 건축을 위한 요소들을 과거의 건축에서 발견하는 것을 초첨을 둔다.

건축설계및도서작성 Architectural Design

‘건축설계및도서작성’ 강의는 비교적 단순한 기능과 공간 구조를 갖는 건축물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건축공간의 표현방법 및 건축도서 작성법을 연습한다. 이 과정에서 학습된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하여 간단한 실제의 건축공간을 설계해본다.

건설관리 Construction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건설조직의 구성과 역할, 경영전략, 프로젝트 개발, 건설 지식 관리, PMIS등 건설생산과정에서 적용되는 다양한 경영관리의 기본 지식을 습득한다.

건축설비1 Building Service System I

건축의 여러 가지 기능 중 환경조절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건물의 유형 및 거주자의 활동목적에 따라 요구되는 각종의 성능에 대하여 고려함으로써 건축물의 질을 높이고 재실자의 쾌적도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측면에서 건축설비 시스템에 대한 중요성이 고조되고 있다. 본 교과에서는 건축 환경학과 연계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환경 조절시스템의 기본원리 및 공조 프로세스와 관련한 첨단 건축기술에 대하여 소개한다.

철근콘크리트구조1 Reinforced Concrete Design I

철근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재료의 기본 특성과 역학적 성질을 해석하고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부재인 슬래브, 보, 기둥, 기초, 계단 및 옹벽 등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계산 규준을 참조하여 강의한다. 또한 설계 시작 단계에서부터 실제 설계 과정에 총체적으로 적용하여 보는 설계 응용 과목인 건축총론에 대비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 시스템을 중심으로 강의하며, 구조해석에 필요한 구조해석용 프로그램의 사용법을 익히도록 한다. 철근콘크리트 구조 (1)에서는 철근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재료의 기본 특성 및 역학적 성질, 그리고 슬래브의 설계, 단근 장방형보, 복근 장방향 보 및 T형보의 설계, 전단보강 설계 등을 강의한다.

건축재료 Building Materials

건축 재료의 성분, 조직, 구조를 명확히 이해하고, 건축물의 사용목적과 조건에 따라 합리적인 자재활용방법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설계와 시공에 실제로 적용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건축IT IT for Construction

본 강의에서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드론 등의 다양한 IT 기술을 활용한 건축공학의 문제해결방법에 대해 습득한다.

건축환경실험및실습 Environmental Design of Architecture

건축 환경은 기후, 에너지, 열쾌적, 실내공기, 빛 및 음환경 등의 몇 가지 세부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특히, 본 강좌에서는 건축환경 교과목의 심화학습을 위한 실습과목으로, 건축환경 교과목에서 학습한 열,빛,음,공기환경에 대한 물리적인 지식 및 이론을 실험 및 시뮬레이션 프로젝트를 통해 습득하고,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쾌적 환경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건축구조시스템 Building Structure System

건축 구조물을 시스템 차원에서 이해하기 위하여, 건물 구조 시스템 및 주요 구성 요소, 작용 하중 등을 학습하고, 건물 구조물을 전산 해석하는 방법을 실습한다.

철골구조 Steel Structure Design

고층 현대 건축의 보편적 수단인 철골 구조의 기본적 원리와 철골구조의 안전성 문제를 강조하여 철골 구조 구성상의 역학적 기초 이론과 건축적 응용상의 각록 및 구조 설계에 사용되는 제반 수식을 이해하도록 한다.

철근콘크리트구조2 Reinforced Concrete Design 2

철근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재료의 기본 특성과 역학적 성질을 해석하고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부재인 슬래브, 보, 기둥, 기초, 계단 및 옹벽 등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계산 규준을 참조하여 강의한다. 또한 설계 시작 단계에서부터 실제 설계 과정에 총체적으로 적용하여 보는 설계 응용 과목인 건축총론에 대비하여 철근콘크리트 구조 시스템을 중심으로 강의하며, 구조해석에 필요한 구조해석용 프로그램의 사용법을 익히도록 한다. 철근콘크리트 구조2에서는 기둥의 설계, 기초의 설계, 계단의 설계 그리고 내력벽체 및 옹벽 등의 벽체 설계를 강의한다.

건축환경조절시스템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of Architecture

건축 환경 조절시스템을 공부하는 목적은 건축 환경을 배우는 학생들에게 환경조절능력을 쉽게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다. 건축환경은 기후, 에너지, 열쾌적, 실내공기, 빛 및 음환경 등의 몇 가지 세부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특히, 본 과정에서 중점적으로 강조할 내용은 에너지보존과 환경친화건축을 다루는 자연형조절기법이다.

건축설비2 Building Service System 2

최근 첨단 정보화 사회로 변화하면서 건축분야에서는 새로운 요구에 부합할 수 있는 인텔리전트 빌딩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건축물의 효율적인 운영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건물자동화시스템의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되면서 그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다. 본 교과에서는 건물자동화시스템의 기본개념, 구성, 기능을 비롯하여 효율적인 건물의 운영을 위한 통합화 방안, 그리고 앞으로의 환경조절시스템의 발전 방향 등에 대하여 소개한다.

건축공정관리 Building Resource Management

건설프로젝트의 시간과 일정의 관리에 활용되는 공정관리의 기본개념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다양한 공정관리기법에 대한 활용이론을 습득한다. 현업에서 사용하는 건설공정관리 전산프로그램의 사용법을 익히고, 실제 건축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한 실습을 통해서 실질적인 관리능력을 배양한다.

건축실무 Construction Practice

본 과목은 건축실무에 적용되는 사무소 조직의 기본 원칙과 건축도서의 체계와 그 작성을 인지함과 함께 프로젝트의 시작부터 계약, 설계, 행정, 감리 건물의 준공 및 사업 평가에 이르기까지의 건축가의 실무적 역할을 이해한다. 이를 위하여 설계 사무소, 건축시공 현장 등 건축실무 현장에서의 현장학습 통해 실무를 습득하는 과정이다.

BIM

‘BIM’ 강의는 건축정보모델링(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을 활용한 건축물 구성요소의 3차원 모델 작성 방법을 실습을 통해 습득한다. 또한, BIM 데이터를 건설 과정 전반에 적용하는 다양한 방법을 학습한다.

건설프로젝트파이낸싱 Construction Project Financing

본 강의에서는 비용 추정(cost estimation), 수명 주기 비용 분석(life cycle cost analysis), 자금조달 및 사업 구조 등 건설사업의 사업성 검토와 프로젝트 파이낸싱에 대한 개념들을 익힌다.

건축설비설계 Building Service Planning

건물설비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종류, 서로간의 관계와 역할을 파악하고, 건축설비의 계획에서부터 모든 과정의 부하계산을 통하여 건축설비설계를 직접 실행한다.

프로젝트 설계 Building construction Planning

주어진 여건과 설계 도서를 이해하여 타당성 있는 프로젝트 대안을 개발한다. 주어진 공기와 원가 및 자체 수립된 의사결정기준에 맞춰 건축마감 공법 및 재료 등의 대안에 대한 성능 및 경제성 분석을 통해 가치향상이 가능한 대안설계를 제안한다. 팀으로 과제를 수행하게 되며, 최종 성과물의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발표능력을 배양한다.

건축구조설계 Building Structure Design

기 습득한 구조적 지식들을 바탕으로 하중정의 및 재료선택부터 구조계획/구조해석/부재설계까지의 구조설계 전 과정을 직접 계획하고 수행함으로써 설계응용능력 배양한다.

건축공학 캡스톤설계 Capstone Design

1,2,3학년 과정에서 수학한 건축공학이론과 실험ㆍ설계능력을 구조, 시공, 설비분야의 전공별로 심화시키고, 조별 팀 작업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이론 및 설계능력을 배양하여 실무에 대비토록 한다. 건축공학적인 심화 문제를 선정하여, 이를 해결하는 과정을 스스로 계획하고 실행함으로써 적절한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건축종합논문 Graduation Thesis in Architectural Engineering

건축공학의 모든 교과과정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각 교과목들의 기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건축공학이론을 중심으로 하는 졸업논문을 작성한다. 졸업논문의 주제는 건축공학에서 중요시되는 것으로 하며 연구계획 및 진행, 논문작성법, 공학적 발표능력 등을 익힌다.

담당부서 : 공과대학 교학팀 / 연락처 : 02-940-5601
교육 KW University